Surprise Me!

[현장 카메라]시외버스 반토막, 터미널 폐쇄…발 묶인 주민들

2022-07-25 2,89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시외버스를 타고, 지방을 갈 수 있는 방법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.<br> <br> 코로나로 승객이 줄어들면서 버스 터미널이 아예 없어지거나 노선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. <br> <br>특히 다른 교통수단이 없는 지방의 중소도시 터미널부터 없어지는 바람에 교통 양극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이곳은 경북 김천 시외버스 터미널입니다. <br> <br>터미널 배차 시간표를 보면 군데군데 흰색 종이로 가려놨습니다. <br> <br>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노선이 늘고, 배차 횟수도 줄어들었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어떤 사정이 있는지 현장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.<br> <br>현재 이곳 터미널에서 운행하는 노선은 진주와 안동 2개뿐. <br> <br>코로나19 사태 전에는 10개가 넘었습니다. <br> <br>[허균 / 김천시외버스터미널 차장] <br>"2018년도에 (하루) 총 52회 다니다가 2021년 8회로 줄었어요. 버스 회사에서 배차를 넣어서 운행하면 좋은데 그분들도 수입이 안 나니까." <br><br>코로나19 여파로 전국의 시외버스 이용객은 급감하고 있습니다. <br><br>[시외버스 회사 관계자] <br>"운송 수입이 한 45~50% 가량 감소했어요. 그런 상황에서 유가가 계속 폭등하니까." <br><br>시외버스 배차는 2년 전에 비해 40% 가량 줄었습니다. <br><br>불편은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주민들의 몫입니다. <br> <br>[전진성 / 경북 김천시] <br>"포항 여동생 집에 가야 하는데 버스가 없다는 거예요. 어쩔 수 없이 기차 타고 대구까지 가서 동대구역에 가서 포항까지 (갑니다.)"<br> <br>운행을 줄이다 결국 문을 닫은 터미널도 있습니다. <br> <br>석 달 전 폐업한 전북 남원의 고속버스터미널. <br> <br>출입문은 잠겨 있고, 고지서가 어지럽게 널려 있습니다. <br> <br>2km 떨어진 터미널에서 시외버스와 통합 운영하는데, 운행편은 줄고 막차도 일찍 끊기면서 광주에서 남원으로 출퇴근 하는 시민은 비용 부담이 커졌습니다. <br> <br>[박모 씨 / 광주 북구] <br>"막차가 (오후) 7시 40분 차인가 그거밖에 없어서. 버스가 끊겼을 때 숙박업소 이용하고 그러니까 아무래도 불편함도 크고 돈도 계속 배로 들죠." <br> <br>직통편이 사라지면서 이웃 도시 터미널까지 전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<br> <br>연결편을 이용하면서 길에서 보내는 시간은 늘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[A 씨 / 경북 구미시] <br>"불편하지. 여기까지 와서 다시 갈아타야 하니까. 선산읍에서 바로 가면 대구 한 시간이면 가는데. 여기 와서 기다리면 또 여기서 한 시간, 대구 가면 한 시간, 두 시간 보통 잡아요." <br><br>주민 불편을 알지만 시청도 뾰족한 방법이 없습니다. <br> <br>[김천시청 관계자] <br>"버스 회사에 이제 재개 좀 해달라고 요청하는 공문 밖에. 운행을 재개한다는 건 수요가 있고, 어느 정도 수익성은 돼야…." <br> <br>하지만 지방인구 감소에 코로나19 여파까지 겹치면서 시외버스는 고사 위기에 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[유정훈 /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부 교수] <br>"시와 군끼리 직접 연결하는 그런 수요를 광역권으로 조금 몰아주고.광역권으로 가서 환승해서 가게 하는 게 비용도 그렇고 실제 이용에 (편합니다.)" <br> <br>주민들의 이동권 보장과 교통 복지를 위한 노선 재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.<br> <br>PD : 김남준 장동하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